Recent Posts
Archives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day
Total
관리 메뉴

Farmer's Golden Life.

오너도 알아둘 필요가 있는 자동차 정비현장 용어 | 自由 揭示板 본문

자격증취득/산업기계설비기술사(완)

오너도 알아둘 필요가 있는 자동차 정비현장 용어 | 自由 揭示板

Dr. Gold. 2020. 8. 9. 17:55
728x90

가솔린[Gasoline]자동차나 항공기의 엔진에 쓰는연료,휘발유 끓는점이 낮은(20~360℃) 탄화수소가 주성분이며 무색투명 비중약0.7 특유의냄새 세정용제(공업 가솔린) 등으로도 쓰인다. 원유를 직접 증류해서 끓은점이 낮은 성분을모은 직류 가솔린과 끓은점이 높은 경유와 중유를 열분해 또는 촉매를 써서 분해하여 끓는점이 낮은 탄화수소로 만든 분해 가솔린이 있다. 천연가스에 포함되는 가솔린 성분을 압축하거나 경유나 흡착제에 흡수시켜서 추출한 천연가솔린 석탄이나 일산화탄소에 수소를 반응시켜서 합성한 합성 가솔린 등도 있다.

가솔린엔진[Gasoline Engine]연료인 가솔린과 공기를 혼합하여 압축한 다음 별도의 점화방법을 사용하여 연소시켜서 동력을 얻는 방식의 기관. 전기점화 엔진이라고도 하며,보통 흡입-압축-폭발-배기의 4행정의 과정을 거치는 4행정엔진이 대부분임.진동과 소음이 적어 승용차용 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석유제품 중에서 휘발성이 높은 가솔린을 연료로 하는 엔진총칭. 기본 원리는 공기 14.7~15 가솔린 1정도의 비율로 기화 상태로 하여 흡입하고 그것을 7~11배로 압축한 다음 전기 불꽃으로 하면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에너지를 축출한다. 내연기관 중 다른 엔진보다 가볍고 출력도크며 진동,소음이 적기 때문에 승용차에 적합하다.

가스터빈비행기에 쓰이고 있는 터보 플롭과 같이 젯 연료를 사용한다. 기본적인 원리를 보면 통안에 있는 첫번째의 회전날개가 공기를 압축하고, 연료를 연소시킨 다음 두번째의 회전 날개가 공기를 압축하고, 연료를 연소시킨 다음 두번재의 터빈을 회전시켜 동력으로 이용한다. 최초의 컴프레서는 터빈 축으로 돌려지며 연소는계속 된다. 문제는 터빈의 회전수가 1분간에 10만 회전 정도 하기 때문에 감속하여도 자동차에 필요한 가.감속의 조절이 힘든다는 것과, 고온의 배기 가스 처리가 문제이다.

가속능력[accelerating ability]자동차가 평지주행에서 가속할수있는 최대 여유력으로서 발진가속능력은 자동차의 정지상태에서 변속 및 급가속으로 일정거리(200m,400m)를 또는100㎞/h까지 가속하여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하며 추월가속 능력은 어느 속도에서 변속없이 가속페달을 조작 급가속하여 어느 속도까지 걸리는 시간.

과급방식자연의 대기압이 아니고, 흡기계통에 설치된 공기 퍼프의 작동으로 가압된 공기를 흡입시키는 방법이다. 흡입 효율이 대표적으로 좋아지기 때문에 엔진의 출력이 35~45% 증가된다. 수퍼차저, 터보 차저는 흡입된 공기를 가압하는 장치이다. 대기압보다 높은 기압의 공기를 과급압이라고 한다.

공기항력계수일반적으로cd로 표시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한 형태의 계수로 이 값이 적어질수록 공기 저항이 적은 자동차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승용차는 0.35-0.4 정도 스포츠 차량은 0.3 정도 이지만 이값은 보디의 스타일 뿐 아니라 바닥의 공기 흐름 등에도 영향을 받는다.

구동축및구동바퀴[drive axle and drive wheel]차동기어에서 전달된 동력을 구동축을 거쳐서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장치

카르노사이클카르노라는 이름을 가진 프랑스인이 고안한 가역 사이클, 저온체에서 고온체로 열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론적으로는 훌륭하지만 실제로는 사용되지 안혹 있다.

캐니스터[Canister]연료탱크내에서 발생되는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하는 부품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는 엔진이 안정적으로 작동될 때 흡기계로 유입되어 연소된다.

캠샤프트[Cam Shaft]엔진의 회전에 따라 공기의 수급을 제어하는 흡기밸브와 배기밸브를 여닫도록 하는축 엔진의 헤드부분에 장착되며,4행정엔진의 경우, 벨트,기어,또는 체인등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과 2:1 (50%)의 비율로 회전한다.

캠버[camber]자동차의 앞바퀴를 앞에서 보았을 때 타이어의 중심선이 수직선에 대해 어떤 각도를 두고 설치된 것을 지칭한다.

캠버각[camber angle]자동차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타이어의 중심선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으로서 위가 벌어져 있는것을 정의 캠버 밑이 벌어져 있는 것을 부의 캠버라고 한다. 타이어에 캠버각이 주어지면 기운쪽으로 캠버 스러스트'라고 불리 우며 옆 방향으로 굴러가려고 하는 힘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의 캠버인 경우 토인을 부의 캠버인 경우 토아웃을 붙이는 것이 보통이다.

캬브레터[Carburetor]엔진의 공기 흡입계에 설치되어 공기와 연료를 혼합시키는 부품. 통과면적이 좁은 유로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빨라져 압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이영하여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게 함. 1990년 이전에 많이 사용된 공기-연료 혼합 시스템으로 현재는 전자제어 연료분사 시스템으로 변환되어 사용빈도가 적음.

커넥팅로드[Connecting Rod]피스톤과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여 피스톤의 직선운동을 크랭크샤프트에 전달하는 부품

크랭크샤프트[Crankshaft]엔진의 동력발생에 의한 피스톤의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축. 엔진의 4행정동안 2회전하며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수가 엔진회전수가 된다.

크랭크케이스[Crankcase]크랭크샤프트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으로, 오일이 담겨져 있는 오일팬(Oil Pan)과 실린더블럭의 아랫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로스,멤버[Cross Member]차량의 좌우측 구조물을 연결하여 전체적인 강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한 수평의 구조물.

크로스플로엔진흡기 계통과 배기 계통을 서로 실린더 헤드 반대쪽에 배치하고, 흡입된 혼합기가 연소실을 가로질러 연소가스로 배출되는 형식의 엔진, 밸브 시트를 크게 할 수 있으며 흡배기 효율이 좋기 때문에 고성능 엔진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클러치[Clutch]동력 전달 단속 기구. 수동변속기에 사용되는 것이 많이 알려져 있으며 수동변속기에서는 변속기에서 바퀴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한다.

내비게이션시스템[navigation system]경로 유도 시스템. 비행기나 배의 항로유도 시스템의 명칭을 그대로 인용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에 지도와 함께 현재위치 진행방향 목적지까지의 거리등을 표시하는것.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에 의해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추측항법과 통신 설비와 조합하여 자동차 외부로부터 정보를 이용하는 전파항법이 있다.

냉각수[Coolant]물과 부동액의 혼합액으로, 엔진을 순환하면서 엔진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라디에이터를 통해 흡수한 열을 방출함으로써 항상 엔진이 일정한 범위의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냉각수온도센서[Coolant Temperature Sensor, CTS]냉각수 온도 센서는 엔진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냉간시 아이들 RPM 보상 농후한 혼합기 공급 점화 진각등의 역할을 하고 열간시에는 전동팬을 회전시켜 준다.

냉각장치엔진을 냉각하여 과열을 방지하고 적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일련의 장치.엔진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엔진 구성부품의 재질 강도가 저하되어 엔진성능이 저하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냉각방식에는 물을 이용하는 수냉식과 공기를 이용하는 공냉식이 있으며 현재 자동차에는 물을 강제로 순환시켜 엔진을 냉각시키는 강제순환식과 엔진앞쪽에 냉각팬을 설치하여 라디에이터의 핀을 냉각시키는 강제 통풍식을 병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냉각팬엔진과 라디에엍 사이에 설치되어 라디에이터 의 뜨거운 냉각수가 통과할 때 공기를 강제로 빨아들여 냉각수를 식히는 역할을 하는 장치.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는 냉각수 온도가 약 90C 정도되면 전기모터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작동하게 되는 존동식과 라디에이터의 온도에 따라 홴의 회전수가 변화하는 유체커플링식이 있다.

노킹[Knocking]가솔린엔진에서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연소현상. 압축과정 중에 연소실내의 일부 영역에서 비정상적인 폭발이 일어나는 것으로, 이 현상이 생기면 출력이 저하되고 심하면 엔진이 파손될수 도 있다. 대기중의 온도가높은 여름철에 더많이 생긴다. 가솔린 엔진의 이상연소및 이에 동반하여 발생하는소리.가솔린 엔진의 폭발행정은 스파크 플러그로부터 점화되어 화염핵이 발생한다. 이 화염핵으로부터 화염이 주위로 퍼져나가 연소가 이루어진다.이렇게 되지않고 플러그로부터 떨어진 부분이 열과 압력에 의해 자연발화하여 연소실 전체의 가스가 순간적으로 연소하는 현상을 노킹이라고 한다. 심한 경우에는 고온, 고압에 의해 밸브의 손상이나 피스톤 고착의 원인이 될수 있다.

다중연료분사[Multi-Point Injection]각 기통마다 인젝터가 있어 기통별로 연료제어하는 방식. 보다 정밀한 연료제어가 가능하여 성능이나 배출가스 측면에서 유리.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가솔린자동차에서 사용되고 있는방식.

다기통실린 수가 많은 엔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는 8기통이 넘는 경우 등에 다기통이라 말한다. 자동차에서는 2,3,4,5,6,8,12기통이 실용화되어 있으며, 레이스용에는 10기통의 예도 있다. 멀티 실린더라고도 부른다.

단기통실린더가 1개뿐인 엔진이다. 실린더란 피스톤이 상하 운동하는 둥근통으로서 단기통이라고 한다. 50~250cc의 모터 사이클 엔진에 많이 쓰이고 있지만, 배기량이 큰 자동차용으로 1실린더의 것은 거의 없다.

더블오버헤드캠[Double Over Head Cam (DOHC)]실린더 헤드에 두개의 캠축을 가지는 엔진 구조로, 각각의 캠축이 기통당 2개의 밸브를 구동함으로 보통 기통당4개의 밸브를 가지며, 흡입되는 공기량을 증대시켜 성능을 향상 시킬수 있다.

독립현가방식[Independent Suspension]한쪽 바퀴의 움직임이 다른 반대편 바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어있는 현가장치 로서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드라이브,샤프트[Driveshaft]전륜 구동형 자동차에서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와 차동장치를 거친 후 바퀴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 축을 말하는 것으로 조향륜의 커브에 그리고 바퀴의 상하 움직임에 신축되도록 하기 위하여 한개의 샤프트에 두개의 조인트를 만들어 원활한 동력 전달을 하게 하기 위한 장치의 이름입니다.

그러므로 전륜 구동형 자동차에서는 두개의 드라이브 샤프트가 존재하는 것입니다.그런데 두개의 길이가 서로 다르기때문에 토오크 스티어 현상이라는게 생깁니다. 즉 급출발하면 짧은쪽의 바퀴가 먼저 회전하기 때문에 솔림 현상이 생깁니다. 이는 전륜 구동형의 단점이라고 할수 있읍습니다.

후륜 구동형 자동차에서는 한개의 프로펠러 샤프트로 밋션의 동력을 디퍼렌셜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부분이며 차동장치(디퍼렌셜장치)에서 동력을 받아 좌우 액슬 축으로 전달하여 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 프로펠러 샤프트에서도 앞뒤로 조인트가 있는데 이조인트를 유니버셜조인트라고 부르는 것입니다.즉 자유자재로 움직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이 조인트는 뒷차축의 상하진동에도 원활한 동력전달이 목적 이겟습니다.

※차동장치(디퍼렌셜장치)[Differential]좌우측 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수 있게하는 기어 조합장치.

드럼,브레이크[Drum Brake]바퀴에 장착되어있는 드럼을 압박함으로써 제동하는 브레이크시스템.

드웰타임[Dwell time]점화에 필요한 전기적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한 1차측 코일의 통전시간. 통전시간이 길어지면 충전되는 에너지의 양이 많아져서, 회로의 단속시 유도되는 2차코일측의 유도 전압이 높아짐 으로 안정적인 점화에 유리. 너무 길어지면 점화계 부품의 내구수명을 단축시킴.

디스크 브레이크[Disk Brake]바퀴에 장착되어있는 디스크를 붙잡아 제동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점화에 필요한 전기적 에너지를 각 기통에 분배하는 기구. 디스트리뷰터 내의 로터(회전날개)가 회전하면서 점화 순서대로 각 기통의 점화플러그 배선에 연결한다.

디.오.에치.씨이 D.O.H.C [DOUBLE OVER HEAD CAMSHAFT]실린더헤드에 2개의 캠샤프트를 설치하여 하나는 흡기밸브를, 다른하나는 밸기밸브를 작동시키는 방식. 각 실린던에 흡배기 밸브를 2개씩 설치하여 흡배기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혼합기를 실린더내에 공급하고 연소후에 배기가스를 신속하게 배출시켜 강력한 파워와 엔진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매커니즘. 특히 저,중속에서 보다는 고속주행시 고출력 효과를 얻기위해 개발된 방식이다.

디젤링[Dieselin]가솔린 엔진에서 점화 중단 후에도 연소가 계속되어 엔진이 회전하는 현상으로, 연소실이 고온일 경우 또는 비정상적으로 흡기압력이 높을 때 발생할 수 있으나, 전자제어 시스템에서는 점화 중단시 연료분사도 중단되므로 거의 발생하지 않음.

디젤엔진[Diesel Engine]연료인 디젤유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의 자연발화를 이용하여, 별도의 점화방법없이 압축된 공기중에 연료를 분사하여 폭발시킴으로써 동력을 얻는 방식의엔진 역시 4행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혼합기를 압축하는 통상의 가솔린 엔진과 달리 압축후에 연료를 분사하여 폭발에 이르게함 저속에서의 동력 성능이 좋아 상용차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슴.

디젤사이클(정압사이클)디젤 사이클 연소에 의한 작동 유체의 압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정압 사이클, 또는 연소할 때 압 력이 급상승 하지 않으므로 연소 사이클 이라고도 부른다. 저속 또는 중속 디젤 엔진에 이요오 디며 공기 분사식이다.

디퍼렌셜[Differential]차동기어.

디플렉터디플렉터는 비끼다. 편향하다의 뜻으로 피스톤 헤드부의 한쪽에 돌출부를 설치하여 피스톤이 상승할 때 혼합기의 와류작용, 잔류 가스를 배출, 압축비를 높이는 작용을 하낟. 2행정 사이클 엔진의 피스톤에 설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Radiator]방열기. 엔진을 순환하여 뜨거워진 냉각수는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면서 대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춰지게 된다. 방열량과 냉각수량등의 영향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 6~8 도 정도의 온도 저하를 얻게 되어 있다.

라디에이터캡[Radiator Cap]냉각수 주입구의 뚜껑 라디에이터 캡은 보통 캡과 압력식 캡이 있으며 현재는 냉각 성능을 향상 시키고 냉각수의 손실이 적은 압력식 캡을 사용하고 있다

라디에이터코어냉각수가 흐르는 튜브와 냉각 핀으로 열전도가 좋은 얇은 구리 튜브 또는 황동의 튜브로 되어있다. 코어의 막힘률은 20% 이상이면 라디에이터 를 교환한다. 냉각핀의 종류로는 플레이트 핀코루게이트 핀 리본셀룰러 핀이 있다.

로터리엔진가솔린 엔진의 일종으로서 왕복 피스톤을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 안을 로터가 편심하여 왕복하 는 로터리 피스톤 엔진이며, 흡입, 압축, 점화로 연소시키는 방식이다. 일본의 마쯔다가 연구개발하고 실용화 하여 세계 제일의 생산을 하고 있지만 특허는 독일의 반켈사가 가지고 있으므로 반켈로터리 엔진이라고도 한다.

록업컨버터[Lock-up Convertea]컨버터의 유체커플링을 거치지 않는 기계적인 클러치를 가진 자동변속기.고속에서 유체를 통한 동력 전달에 따르는 에너지손실이 없기 때문에 효율적임.

롤 컨트럴 시스템[Roll Control System]현가장치에 영구적으로 장착되는 강철재 Stabilizer Bar는 급격한 선회시에 발생하는 Rolling을 줄이는데 효과적 이다. Chassis 를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할 수 있지만 직진 주행시에도 여전히 좌우의 현가장치를 구속하므로 승차감의 저하를 피할 수가 없다.필요에따라Stabilizer Bar 를 자동 적으로 풀고 결속할수있는 Roll Control System이 실용화 되면 설계시에 조종안정성과 승차감의 절충을 고민할 필요가 없게된다. 여기에는 조향각 센서로써 차체의 거동을 미리 예견하여 주행상태에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무단제어장치인 Active Roll Control System과 조향각 센서로써 실시간으로 주행상태를 감시하지만 Stabilizer Bar에 어떤 힘이 가해지지는 않고 단순히 결속을 통제하는 2단 제어 장치인 Semi-active Roll Control System이 있다. Roll 제어기술은 SUV나 VAN같이 중심고가 높아서 선회시 위험할 정도의 Rolling이 발생하는 차량에 매우 효과적이다. 현재의 4x4차량은 험로주행 성능뿐만 아니라 포장로에서의 승용차 수준의 승차감이 요구되고 있지만 재래식 Stabilizer Bar로는 이에 대응하기가 어렵다.

루프[Roof]집의지붕에 해당하는 차량상판 A-Pillar,B-Pillar,C-Pillar 등 으로 지지되고 있다.

랭킨사이클작동 유체가 액사오가 기상 에 걸쳐서 형성하는 사이클로 서 증기 사이클이라고도 한다. 증기 사이클 열기관에는 증기 터빈과 증기 왕복기관이 있으며 자공 유체가 고열원으로부터 열을얻기 위한 보일러나 과열기, 일을 발생시키는 터빈이나 피스톤,열을 저열원으로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기가 필요하다. 랭킨 사이클을 화력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등에 사용된다.

마력[Horsepower(HP)]엔진에서 발생되는 힘을 표시하는 단위

멀티퓨얼멀티는 "많은 것의"를 의미하며, 에컨대 가솔리노가 LPG처럼 2종류 이상의 연료를 사용할수 있는 엔진을 말한다. 가스터빈 엔진과 스털링 엔진 등도 석유 이외으이 연료를 포함해서 몇 종류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되고 있다.

몰딩라디에이터 그릴과 범퍼 등의 주위에 붙이는 장식품 간단하게 말하면 액자 테두리와 같은 것으로 장식뿐 아니라 이음새를 덮고 손가락을 보호하며 다른 부품과의 시각적인 균형을 이루는 구실을 합니다. 금속과 수지로 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차 바깥쪽과 대시보드 도어 안쪽 등에도 쓰입니다.

미러 사이클 엔진4사이클의 가솔린 엔진은 흡입, 압축, 팽창, 배기의 모든행정에서 피스톤이 움직이는 거리는 같다. 현재 일반적인 고급 엔진은 이 오토 사이클의 흡입 행정에서 압력을 높인 공기를 실린더에 밀어 넣고 있으나, 많은 공기를 채워 넣으면 압축 행정에서 고온이 되어 노킹이 발생되기 쉽다는 한게가 잇다. 미러 사이클은 압축 행정에서 피스톤이 약 1/5상승할 때까지 흡기 밸브를 열어 놓은채로 놓아두고 실질적인 압축비를 내리게 하므로써 노킹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맨처음 미러 사이클을 자동차용 엔진으로 챙용한 마쯔의 경우 배기량은 오토 사이클 엔진에 비교하여 1.5배높은 토크와 10~15%의 연비 향상을 얻고 있다.

맥퍼슨스트러트[MacPherson Strut]완충기와 스프링이 결합된 형태의 것으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앞바퀴굴림형의 차량에서 사용된다.

미끄럼제한 차동기어[Limited Slip Differential(LSD)]두바퀴사이의 속도차이를 줄여주는 차동장치.미끄러지는 바퀴가 엔진의 모든 동력을 가져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추진을 좋게 한다.

메타놀 엔진메타놀(메틸 알콜)을 연료로 한 엔진의 총칭. 석유의 대체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하나로 개발되어NOx등 유해가스가 적고 깨끗한 엔진이다. 메나놀에는 금속을 부식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탱크나파이프의 연료 계통과 배기 계통에 부식방지 가공이 필요한 점, 또한 배기 가스 중 미연소 메낱놀 등을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기 위한 촉매 컨버터가 있다는 것이 난점이다. 보급되기 위해서 최대의 걸림돌은 급유시설의 정비라고 한다.

배기매니폴드[Exhaust-manifold]각 기통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를 하나의 흐름으로 모으는 배기관.

배기행정기계적 에너지로 바꾼 가스를 피스톤이 하사점에서 사상점으로 상승하면서 배기 밸브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행정이다. 따라서 배출되는 가스이 온도는 600~700도씨이며 압력은 3~4Kg/cm2 로 흡입 밸브는 닫혀 있다.

배출가스재순환(EGR)[Exhaust Gas Recirculatio]배출가스 정화장치중 하나로 질소산화물(NOx)이 작게 나오게 하는 방법. 연소된 후 배출되는 배출가스중의 일부분을 다시 엔진으로 흡입시켜 연소온도를 낮춤으로써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감소시킴.

밸런스샤프트[Balance Shaft]엔진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별도의 회전축

밸브 [Valve]각 실린더의 공기의 흡입,배출을 제어하는 기구. 공기의 흡입에 관여하는 흡입밸브와 연소후의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밸브가 있으며, 각 기통당 밸브의 숫자가 많으면 고속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므로 성능향상에 효과가 있다.

벨트 [Belt]두 회전축사이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동력 전달기구 중의 하나. 예로는 엔진내의 캠축 구동,냉각수 펌프 구동 등을 들 수 있다.

보어[Bora]엔진 실린더의 직경

보디[body]자동차에서 승객,엔진,화물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일체의 완비된 유닛을 가르킨다

보닛[bonnet]자동차 앞부분의 엔진룸의 덮개 영국에서는 보닛(bonnet) 미국에서는 후드(hood)라고 불린다.

브레이크 라이닝[Brake Lining]드럼 브레이크 시스템 에서 드럼에 접촉함으로써 차량을 감속시키는 마찰재로, 마모 정도가 심하면 교환해야 한다.

브레이크 패드 [Brake Pad]디스크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차량을 감속시키는 마찰재로,마모정도가 심하면 교환해야 한다.

브레이크 페이드 [Brake Fade]브레이크를 빈번하게 사용함으로써 브레이크패드가 과열되어 일시적으로 제동성을 잃는현상

베이퍼 록[VAPOR LOCK]파이프 또는 호스 등에서 발생한 증기의 기포에 의하여 액체의 유동이 저지되는 현상.액체는 비압축성 이지만 그것이 기화한 기체는 자유로이 압축팽창하므로 펌프 등이 작동되어도 헛되게 기포가 팽창수축하게 된다. 유압식 브레이크 차량에서 브레이크가 과열 되어 훨 브레이크 실린더 등의 액중에 기포가 생겨 페달을 밟아도 반응을 느끼지 못하고 브레이크 가 작동치 않는 것과 엔진에 인접한 가솔린 공급 파이프 등이 가열되어 그 파이프내에 가솔린 증기의 기포가 생겨 연료 공급이 감소 혹은 중단되는 고장 등은 모두 베이퍼록 현상이다.

베이퍼록현상긴 내리막길을 내려오는 경우 →브레이크를 자주 밟음 →브레이크 디스크 과열 → 브레이크액속에 포함된 수분이 끓어올라 브레이크파이프 내에 공기층이 생겨 브레이크 작동이 안됨.현재 대부분의 부분정비업소 에서는 브레이크액 의 불량 여부를 점검해주는 브레이크액 점검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불량으로 판정될 경우에는 안전을 위한 필수 정비 항목입니다.

브이식스엔진[V-6 Engine]보통의 4기통 엔진이 기통배열을 직선으로 한것과는 달리 기통의 배열을 V자 모양으로한 6기통 엔진.

비-필라[B-Pillar]자동차의앞문(Front Door)과 뒷문(Rear Door)사이에있는 차량상판의 지지대

사이드임팩트[Side Impact]측면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도어내부에 설치한구조물.

사바데사이클(합성사이클)사바데사이클은 작동 유체가 단열 압축, 정적 연소, 정압연소, 단열 팽창, 정적 방열의 1사이 클을 완성한다. 일정한 압력항에서 연소하는 사이클로서 고속 디젤 엔진에 사용하며 무기 분사 식이다.

상사점[Top Dead Center]피스톤이 실린더내에서 가장높게 위치하는 지점.

서스펜션[suspension]현가장치라고 한다.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스프링의 작동을 조정하는 쇽업쇼바,바퀴의 작동을 제어하는 암이나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특수한 서스펜션으로는 유체에 의해 힘을 전달하는 공기 스프링식이나 유체 스프링식도 있다

서지탱크[Surge Tank]공기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각 기통에 균등하게 하고 또한 연소실내로의 공기 흡임을 원활하게 하는 흡기계 부품으로, 쓰로틀바디와 흡기매니폴드 사이를 연결한다.

슈퍼차저[Supercharger]엔진에 의해서 구동되는 공기펌프를 사용하여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를 압축함으로써 더 많은 동력을 발생 시키도록 하는 장치.

스타터[Starter]엔진의 시동을 위하여 크랭크샤프트를 돌리는 장치. 바테리의 전기 에너지로 구동됨.

스털링 엔진1816년에 발명되었지만, 사용된고 있지 않다. 원리는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양측에 기체를 밀폐한 방을 설치한 다음, 한쪽 방은 가열하고,다른쪽을 냉각하면 의 압력차로 인하여 피스토느이 저온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동력으로 축출한 것이다.

스태빌라이저바[Stabilizer Bar]차량의 우축과 좌측의 현가장치를 연결하는 금속제 봉 또는 관으로 차량이 좌우로 진동하는 것을 감쇄 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파크플러그[Spark Plug]가솔린엔진에서 혼합기의 점화에 필요한 전기불꽃을 주는부품.

스포일러차의 속도가 높아지면 차체가 떠오르는 성질이 있어 타이어와 접지력이 약해지고 차의 속도가 오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해 차 뒷부분을 밑으로 눌러주는 부착물을 다는데 이것이 바로 스포일러입니다. 스포일러는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에어 스포일러라고도 부릅니다. 스포일러는 공기의 방해를 막을 뿐 아니라 멋을 더해주는 옵션으로 다는 사람이 많습니다.

슬랜트엔진길이형 엔진으로서 실린더가 차체 상하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부착되어 있는것 엔진 본체는 조금 기울어지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실린더 블럭[Cylinder Block]엔진의 몸체로 고압에 견딜수 있는 강성이 요구됨.

실린더헤드[Cylinder Head]엔진의 상부로 실린더 블럭과는 헤드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피스톤의 상면과 함께 연소실을 구성하며밸브,캠샤프트등이 결합된다.

실린더(기통)[Cylinder]흡입,압축,폭발,배기 과정을 통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곳. 4기통이라 함은 엔진 내에 이것이 4개라는 것을 말함.

실린더블록[CYLINDER BLOCK]4~6의 실린더를 일체로 주조한 블록구조로 되어있어 기관 본체의 기초가 되는 엔진 구성부품 주철이 가장 많이 쓰이며 주물의 균열을 방지하고 마모에 대한 저항을 높이기 위해 열처리가 되어 있다.

서스펜션[suspension]현가장치라고 한다.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그스프링의 작동을 조정하는 쇽업쇼바,바퀴의 작동을 제어하는 암이나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특수한 서스펜션으로는 유체에 의해 힘을 전달하는 공기 스프링식이나 유체 스프링식도 있다

써모스탯[Thermostat]엔진의 냉각계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써, 엔진에서 라디에이터 로 가는 냉각수의 흐름을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단속한다. 엔진의 온도가 낮을 때는 냉각수의 통로를 막아 엔진의 온도가 올라가게 하고,엔진의 온도가 높아지면 냉각수 통로를 개방하여 방열기로 냉각수가 순환 되도록 하는 부품.

쓰로틀바디[Throttlebody]액셀레이터 페달과 연결되어,운전자의 의도대로 엔진으로의 흡입공기량을 조절하는 기구 내부는 공기흐름의 통로를 여닫는 밸브구조로 되어 있다.

쓰로틀바디,인젝션[Throttlebody Injection]공기와 연료의 혼합을 위하여 쓰로틀바디부에 설치한 인젝터 통하여 연료제어를 하는방식.

씨.피.에스[crank position sensor]크랭크 포지션 센서를 C.A.S라고도 하며 그종류가 몇가지가 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하는일은 거의 같은 것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이 엔진의 rpm(회전수)를 검출하는 것이며 두번째로 점화시기 결정,그다음이 1#T.D.C (1번실린더 압축 상사점)을 검출한다. 이제부터 한가지씩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C.P.S앞부분이 영구 자석으로 되어있다. 이것은 플라이 휘일이나 그 부근에 설치되어 시동시 플라이 휘일이 회전하면 여기서 교류가 발생된다. 이 부품을 분해하면 둥글고 얇은 슬릿판이 들어있다.이판에는 구멍이 뚫려 있고 엔진이 회전을 하면 이 슬릿판도 회전한다그럼 물론 앞뒤에는 다이오드가 달려 있어 엔진회전수를 검출한다.

어떻게 다이오드로 검출하는지 궁금할것 같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다이오드 한개는 발광 다이오드이다. 여기서 발광은 빛을 낸다는 것으로 적외선을 보낸다. 다른 반대편에는 수광 다이오드가 있어서 슬릿판 사이에 있는 구멍사이로 빛을받으며 당연히 스릿판의 구멍수는 엔진 기통수와 같다.

씨-필라[C-Pillar]가장 뒷쪽의 옆유리창과 뒷유리창 사이의 차량 상판 지지대

새시[chassis]자동차에서 보디와 그 부속품을 제외한 부분 엔진,동력 전달장치,서스펜션,스티어링 장치,브레이크 장치,주행장치등을 가리킨다.

세미오토(자동클러치)자동변속기(오토)는 주행중 가속과감속을 자동 변속하는 기능을 가진대신 반자동 변속기(semiㅡautoatic 일명 오토크러치)는 토오크 컨버터에 의한 무단변속 만으로 전체를 커버 하거나 클러치를 밟지않고 수동에 의하여 기어를 선댁하여 주행하는 장치를 말하며 출발을 아주 부드럽게 할수있어 교통정체시의 만족도가 오토매틱과 거의 동일 수준이며 기어를 바꾼후 출렁거리지 않습니다.

급속출발,급제동시에도 시동이 꺼지지않아 아무때나 기어를 중립에 넣지않고도 브레이크만 밟아 정차할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오토메틱처럼 브레이크만 놓으면 서서히 출발하고 언제든지 브레이크만 밟아도 시동이 꺼지지 않고 정차하며 체인지레버의 전자 감응센서만으로 곧바로 변속 됩니다.

오토매틱 처럼 엑셀레이터와 브레이크만으로 출발과 정지가 되므로 왼쪽발을 사용치 않아 교통정체시 다리의 피로가 없습니다. 자동 상태에서도 언제든지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수동상태로 바뀌므로, 자동과 수동을 마음대로 겸할 수 있으며 제품에 따라서 자동/수동 선택스위치가 있어 수동자동을 마음대로 선택하여 운행이 가능합니다. 클러치 페달을 체인이나 케이블로 잡아 당기지 않고 아토즈나 마티즈, SAAB처럼 릴리스 변속기의 포크를 집적구동하는 제품이 체인이 늘어져서 유격이 변하거나 잡소리 고장등이 없는것으로 판단 됩니다.

세미오토의기본원리밧데리로 전기 모터를 구동하여 클러치를 구동시키고 클러치 디스크의 위치 체인지레버센서, 엑셀레이터 S/W등의 입력을 받은 컴퓨터가 전자적인 제어로 모터를 자동제어 하므로부드럽게 출발,급제동, 급변속, 급속 출발등에 민첩하게 응답할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제어 카트로닉스 장치입니다.

I.S.C[Idle Speed Controller또는Idle Speed Control Valve]차량이 아이들상태에 있을 때의 엔진으로의 흡입공기량을 조절하는 장치. 아이들상태에서는 엔진의 힘이 작기 때문에, 헤드램프를 켜거나, 에어컨을 작동하여 엔진에 부하를 걸면 엔진회전수가 감소하거나 심한 경우 시동이 꺼질 수 있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하가 걸릴 때 이를 보상할수 있도록, 여분의 공기를 추가적으로 엔진에 공급하는 장치.

안티-롤바[Anti-Roll Bar]스태빌라이저 바
알.피.엠[R.P.M]
엔진회전수.1분당 엔진의 회전수.Revolutions Per Minute.

알로이 휠[Alloy wheel]비철금속,보통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휠을 말하며,경량화와 강도보강을 위하여 사용한다.

압축비 [Compression Ratio]실린더에 흡입된 공기가 실린더내에서 압축되는 비율.피스톤이 가장 낮은 위치인 하사점에 있을 때의 실린더내 체적을 피스톤이 가장 높은 위치인 상사점에 있을 때의 실린더내의 체적으로 나눈 비율. 압축비가 높으면 엔진의 효율이 좋아지나 노킹이 일어나기 쉽다.

압축행정피스톤이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상승하면서 실린더에 유입된 공기또는 혼합기를 연소실에 압축하는 행정으로 흡입 및 배기 밸브가 모두 닫혀 있다 혼합를 압축하는 것은 공기와 연료의 입자간 거리를 가까이 하고 온도를 높여 쉽게 연소되도록 하여 연소 압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액슬비[Axle Ratio]엔진의 회전수와 구동바퀴의 회전수의 비율

어스[ground]접지라고 하며 전기장치나 전기회로의 확실한작동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접지를 반드시 해야 하며 접지가불량하면 전자부품의 오작동이 일어난다

어셈블리[assembly]:여러 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일체가 된 부품을 말한다. 보통은 줄여서 아세이(ass'y)라고도 한다

언더보디언더 보디는 차체 아래쪽 바닥을 가리킵니다. 보디의 강성이라는 면에서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고 뒤서스펜션과 트랜스미션,디퍼렌셜 기어 등 구동장치가 붙어 있지요. 사이드 보디는 자동차의 옆면,즉 도어 둘레를 말합니다. 차가 뒤집히거나 옆쪽에 충격을 받았을 때 변형이 적도록 설계하고 승객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제작합니다

얼라인먼트[Alignment]일반적으로 휠얼라인먼트를 말하며,휠얼라인먼트는 전,후륜의 조향과 현가 장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에어클리너[Air Cleaner]엔진내부로의 불순물의 유입을 막기 위해서 공기 흡입구 바로 다음에 설치한 공기 여과기.

에이.에프.에스[air flow sensor]이센서는 흡입 공기량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엔진의 부하 상태를 측정하는지표가 된다. 이때 공기량은 연소실내의 카본이나 밸브 세팅 상태를 짐작할수있는 정보가 된다. 공기유량센서는 이외에도 몇가지가 더있읍니다.

에어백[Air Bag]전방충돌시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충격량을 흡수하는 안전장치.차량전방에 있는 센서에 의해서 자동으로 작동되나,효과를 최대화 하기 위해서는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에어댐자동차의 앞범퍼 아래로 늘어뜨린 부착물을 에어댐이라고 합니다. 여성의 치마에 비유해 에어댐 스커트, 프론트 스커트라고도 부르지요. 고속으로 달릴 때 차체 밑으로 흐르는 공기의 양을 덜어 차체가 떠오르는 것을 막고 타이어의 접지력을 높여줍니다. 스포일러와 같은 구실을 하는 부착물로 스포츠성을 강조한 차에 많이 답니다.

에어포일 [Airfoil]주행중의 차량에 하방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기구. 에어포일을 장착하면 코너링성능과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향상되나 주행저항은 커진다.

에이.비.에스[Anti-Lock Brake System]갑작스런 감속으로 제동장치가 잠겨서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을 상실하는 현상을 막아줌으로써 제동중에도 확실한 조정성을 유지시켜주는 장치제동 성능을 향상시키는 Anti-lock Braking System. ABS는 제동시 바퀴의 회전상태를 감시하여 Locking(바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함 으로써 제동 안정성을 향상시켜준다. ABS의 주목적은 제동거리 단축보다는 제동시 차량의 자세를 운전자가 통제할수 있도록 유지 시켜주는 안정성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실제로 자갈이 얇게 깔린 도로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제동거리 단축효과를 포기하는 방향으로 ECU를 설계하기도 한다. 또한 ABS는 기후조건이나 파손 등에의한 변화무쌍한 도로조건에 모두 대응할 수는 없으므로 과신은 금물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ABS는 신차개발 초기단계 에서부터 수차례의 시험과 시행착오를 거쳐서 완성된다. 왜냐하면 ABS는 제동장치뿐만 아니라 현가장치 타이어 전후축,중등 차량의 특성을 많이타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에이필라[A-Pillar]차량상판(루프,Roof)을 지지하는 가장 앞쪽의 지지대.

에스.피,아이 방식[single point injection type]이 방식은 T.B.I(throttle body injection)라고도 부르며 흡기 매니폴드의 에어 크리너 밑에서 연료를 분사한다. 연료를 분사할 때 하나의 인젝터가 분사하므로 제어는 용이하지만 가속시나 급출발시 약간의 출력부족이 있으며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엔진연료를 열원으로 하여 그 연소에 의한 열에너지를 작동 요체에 공급하여 열팽창 시켜서 작동 유체가 팽창하는 힘을 기계적 에너지인 축의 회전력이나 유체의 분출력으로 바꾸어서 동력을 얻는 장치를 열기관 이라고 한다. 즉 열기관이란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며 내연기관과 외연기관으로 분류된다.<내연기관> 연료를 실린더 내부에서 연소 폭발시켜서 동력을 얻는 기관이다.<외연기관> 엔진의 외부에 장착된 연소장치에 의하여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실린더 내부로 흡입하여 동력을 얻는 엔진이며, 증기기관과 증기터빈이 여기에 속한다.

엠.에이.피[manifold absolute pressure]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는 M.A.P센서이다.맵 센서의 가장 큰 특징은 값이싸다는 것이다. 붉은색 화살표가 있는 곳이 흡기 매니폴드와 호스로 연결되어 있어 매니폴드의 절대압력을 측정해 전압으로 변환하여 E.C.U에 전달한다. 이것을 분해하면 압력을 받는 판위에 저항이 있고 그 저항과 전선이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압력을 받으면 저항이 조금 휘어지고 그 휘어진 정도 만큼 저항값이 변화한다. 이 저항값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엠.피.아이 , M.P.I [MULTI-POINT INJECTION]EFI 방식의 한종류로서 각종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에 의해 엔진을 컴퓨터가 제어하며 인젝터를 각흡기 다기관마다 1개씩 부착하여 연료를 분사하는 다중연료 분사 방식.엔진출력 증가 배기가스 감소, 연비향상, 시동성 및 엔진응답성 양호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연료를 분사할때 각 기통마다 인젝터라는 연료분사 밸브를 설치하여 흡기구에서 따로따로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엔진성능이 좋으며 현재는 대부분이 이방식이다.

엠블렘배지와 표장을 뜻하는 단어로 자동차의 상징물을 말합니다. 벤츠의 원속의 세꼭지별 현대 그랜저의 "H"마크 등을 기억해 보세요. 대체로 차의 권위를 상징하기 위해 고급차에 붙이는 장식입니다.

에프.비.엠[FBM]LPG차량 엔진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를 산소센서가 감지하여 컴퓨터(ECU)로 정보를 Feed Back하여 각종 전자제어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믹서에서 이상적인 공연비를 얻게하는 시스템.

연소실[Combustion Chamber]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가 연소되는 공간으로 실린더 헤드,실린더 블럭,그리고 피스톤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다.

오버 드라이브[Overdrive] 변속비율이 1:1보다 작은경우 예를들면 수동변속기 5단의 0.7:1 변속비율이 해당. 고속에서의 오버드라이브는 엔진의 회전수를 감소 시키기 때문에 연비향상에 도움을 준다.

오일 교환 엔진 오일은 윤활뿐 아니라 각 부분의 냉각 청소 방청이나 연소실에서의 가스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장기간 사용하면 열화 되므로 정기적으로 교환한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새차에서는 엔진의 가공, 조립시에 들어간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1.000Km 정도 주행하면 오일교환을 해야한다.

오일 첨가제 엔진 오일의 역할을 좋게 하거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가해지는 것을 말한다. 기본이 되는 오일에 따라 광물유 계토오가 식물유 계통이 있다. 오일의 품질 향상으로 경주용 차량 등 특히 과혹한 사용 조건 외에 별로 쓰이지 않는다.

오일팬[Oil Pan]엔진내를 순환하는 오일을 저장하는 용기로 실린더 블럭의 하부를 감싸고 있슴.

옥탄가[Octane Number]가솔린연료가 노킹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이 숫자가 높을수록 노킹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90~93 정도의 가솔린이 사용되고 있다.

알터네이터[Alternator]회전에너지를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장치. 차량의 전기 시스템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며 밧데리 충전도 담당한다.

완충기[Shock Ab sorber] 유체 또는 기체를 매체로 하여 차량의 상하방향의 진동을 완화시키는 기구

워터펌프[Water Pump]엔진의 냉각을 위하여 엔진내의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와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됨.

이.씨.유[E.C.U] Engine Control Unit 또는 Electronic Control Unit의 약자. 엔진의 상태와 운전자의 의도등에 관한 정보를 센서를 통해 입수하여, 상황에 가장 적절하도록 엔진을 제어하는 인간의 두뇌에 해당하는 전자제어 부품의 핵심장치로 원어 ELECTRONIC CONTROL UNIT 로 표기하며 여러가지 센서에서 보내진 정보를 토대로 엔진의 최적 작동조건 을 계산하여 적절히 출력액튜 에이터 를 조정하는 장치로 보통 마이크로 프로세서, ROM, RAM 및 입출력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그니션 시스템[Ignition Systems]차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시동이 걸려야 합니다.이 기능을 해주는 것이 바로 이그니션 시스템(Ignition Systems)입니다. 기존 부품들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지만 퍼포먼스,이그니션 시스템은 기능 면에서 우수성을 보입니다. 약 2-5호스파워가 증가 됩니다.

인젝터[Injector]흡기관내로 연료를 분무하는 부품. 물리적인 특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캬브레타와는 달리비교적 정확한 양의 연료를 분사할수 있어 성능,연비,배출가스 등의 개선효과를 얻을수 있다.

전륜구동[Front Wheel Drive]엔진의 구동력을 앞바퀴로 전달하는 구동방식으로 모든 동력전달 관련 부품이 차량의 앞쪽에 배치됨으로 차량 내부의 공간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전기모터전차와 같이 모터로 자동차를 작동할수 있다. 골프장이나 유원지에서 볼 수 있는데 에너지를 발생하는 전기를 배터리로부터 얻으려면, 모터보다 무겁고 큰 배터리를 만드는 것이 과제이다. 가솔린 엔진 등은 언제든지 얻을수 있는 공기를 이용하여 에너지로 바꾸고 있으나 전기 자동차의 에너지는 자기가 모두 운반하지 않으면 안되는 결점이 있다. 러므로 조용하고 배출가스도 없으며 운전하기에는 편하지만 주행 가능거리도 가솔린 차보다 짧고 배터리의 발명이 획기적인 것이 없는한 가솔린 엔진을 대신할수는 없을 것이다.

전자제어분사장치[Electronic Fuel Injection System]연료를 엔진내부에 분사시키는 시스템으로 전자제어를 통해 분사시기와 분사량을 조절한다.

전자제어점화장치[Electronic Ignition System]점화시기와 드웰타임(Dwell time)을 전자제어를 통해 조절하는 시스템.

점화코일[IGNTION COIL]12볼트의 배터리 전압을 약 150~200배로 상승시키는 작용을하는 코일스파크 플러그가 내는 불꽃의 원인이 되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임무를 하는데 1차코일 2차코일을 케이스에 넣어 고정및 절연을 위해 주위에 컴파운드나 절연유를 넣는다. 고속 주행용 기관에서는 1차코일에 저항을달아 코일의 온도 상승 방지와 점화 성능을 높인다.

제동마력[Brake Horsepower]부하가 작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측정된 엔진의 실제 마력

제동장치[Brake System]차량의 속도를 떨어뜨리는 장치.

조향장치[Steering System]핸들을 포함한 차량의 방향을 조정하는 장치.

종치식배치자동차의 지행 방향에 따라 엔진을 길이 방향으로 배치한 방식을 말한다. 이 경우 크랭크 축의 방향이 세로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일반적인 엔진의 설치 방법으로 쓰여지고 있으며 엔진룸의 양쪽에 여유공간이 있으며 정비성이 좋다.

차동기어[Differential]좌우측 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수 있게하는 기어 조합장치.후륜 구동형 자동차에서는 한개의 프로펠러 샤프트로 밋션의 동력을 디퍼렌셜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부분이며 차동장치(디퍼렌셜장치)에서 동력을 받아 좌우 액슬 축으로 전달하여 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 프로펠러 샤프트에서도 앞뒤로 조인트가 있는데 이조인트를 유니버셜 조인트 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즉 자유자재로 움직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조인트는 뒷차축의 상하진동에도 원활한 동력전달이 목적 이겠읍니다

촉매(삼원촉매)[Catalytic Converter]엔진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 중의 유해가스성분을 정화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로 가솔린 엔진의 경우 탄화수소,일산화탄소,질소산화물을 동시에 정화하는 삼원촉매를 사용하며 디젤 엔진의 경우는 입자 상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산화촉매를 주로 사용한다.

터보차저 [Turbocharger]터빈을 사용하여 공기압축기를 구동하는 슈퍼차저의 한형태 터빈은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회전한다.

토션 바 [Torsion Bar]긴 막대의 형태로,한쪽은 차체에,그리고 다른 한쪽은 현가장치 부품에 연결되어 있어 차량의 상하운동을 제어하는 현가장치 구성품의 일종

토크[torque]어떤 것을 어떤 점 주위에 회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양으로서 회전모멘트,비틀림 모멘트라고도 부르며 힘의 크기와 힘이 걸리는 점에서 회전 중심점 까지의 길이의 곱(kg.m)으로 나타낸다. 자동차 에서는 엔진에 발생하는 토크(축 토크) 를 가리키는 것이 보통이며 엔진의 토크가 크면 가속이 좋고 운전하기 쉽다.

토인[toe-in]앞의 두바퀴가 앞쪽으로 약간 좁아진 것이다. 이렇게 되면 타이어가 앞쪽으로 나아 갈려는 힘이 생기고,조향 바퀴의 사이드슬립과 타이어의 마멸을 방지하고 앞바퀴를 평행하게 회전시키며 링키지 마멸에 의한 토우아웃됨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토아웃[toe-out]토인의 반대로 앞바퀴의 앞이 넓어진 것이다. 이렇게 되면 조향성(핸들링)이 나빠진다.

트랜스미션[transmission)]변속기,변속장치,수동식과 자동식이 있음. 자동차용 엔진은 회전 방향이 일정하고 발생하는 토크는 회전 속도에 따라 변하지만 실제로 쓰이는 속도 범위에서는 거의 일정하다. 한편 자동차는 후진도 하지만 주행속도,주행에 필요한 토크는 넓은 범위에 걸쳐 변화하므로 기어를 이용하여 주행 조건에 알맞는 상태를 만들기 위하여 트랜스미션이 이용된다.

트랙션콘트롤[Traction Control]가속시 바퀴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 보통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스로틀밸브를 닫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티.비.아이[Throttlebody Injection]

티.피.에스[throttle position sensor]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약자이다. 스로틀의 개폐각도를 전압으로 변화하여주는 것으로서 운전자 의 반응을 직접 받는 엔진에서 중요한 센서의 하나이다.가변저항 방식으로 악셀페달을 밟는정도에 따라 0.5-5V까지 변화한다. 처음시동시를 IDLE라고 하는데 아이들시에 0.5V이다. 위의 붉은선이 두개있는데 왼쪽것이 TPS에서의 전압을 검출해서 E.C.U로 전달하는 것이고 오른쪽이 운전자가 악셀페달을 밝을때 케이블이 걸려 있어서 스로틀을 개폐한다. 당연히 개폐되는 것은 중앙에 있는 하늘색 선이며 물론 많이 밝으면 그 만큼 공기가 많이 들어간다

텐셔너텐셔너는 장력,응력,팽창력의 뜻으로 벨트 구동식이나 체인 구동식에서 벨트나 체인이 늘어지게 되며 밸브의 개페시기가 틀려진다. 그러므로 유압이나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팽배해 지도록 장력을 조절하므로 밸브 개페를 정확하게 한다.

파워스티어링[Power Steering]엔진의 힘을 이용하여 핸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장치.

포휠드라이브 [4Wheel Drive]전륜구동. 엔진의 구동력을 4바퀴중 일부분으로만 전달하는 전륜구동(앞바퀴 굴림:FWD)이나 후륜구동(뒷바퀴 굴림:RWD)과 달리 4바퀴 전체에게 전달하는 구동 방식

포휠조향[4Wheel Steering]뒷바퀴도 방향전환을 할 수 있는 구조의 조향시스템. 조향각은 보통 2~3도의 제한을 가지며 보다 안정적인 코너링을 가능하게 한다.

폭발 행정혼합기를 연소시킬때 발생된힘을 피스톤에 의해 크랭크축으로 전달되어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유효한 힘이 발생하게 하는 하강행정으로 흡입및 배기밸브가 모두 닫혀 있다. 폭발 압력으로는 가솔린 엔진이 35~45KG/cm2, 디젤 엔진이 55~65Kg/cm2 이다.

프레임[frame]자동차의 골격 여기에 차체,엔진,동력전달장치,서프펜션(현가장치)등을 설치한다. 프레임을 사용 하지않는 구조를 프레임리스 구조라고 하며 모노코크 바디가 대표적 이다. 프레임 구조의 장점은 노면이나 엔진 으로부터 진동이나 소음이 프레임을 경유하여 보디에 전달 됨으로 조용하고 승차감이 좋은 자동차를 만들수 있으나 반대로 단점으로는 차체가 무겁고 바닥이 높아지고 차고가 높아진다

피스톤[Piston]실린더 헤드와 함께 혼합기가 연소되는 공간을 이루는 것으로, 실린더내를 상하 운동하여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크랭크,샤프트로 전달함.

피스톤행정피스톤이 상사점에서 하사점까지 또는 하사점에서 상사점까지 이동한 거리를 행정이라고 하며 클랭크축은 180도 회전한다. 피스톤이 맨 위로 올라갔을 때 이점을 상사점(T.D.C)이라 하고, 맨 아래로 내려 갔을 때 이점을 하사점(B.D.C)이라 한다.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을 크랭크축이 회전운동으로 변화할 때 피스톤은 크랭크축의 1회전에 2회의 행정이 이루어진다.

피.에스[P.S]미터계 마력단위 1.0 hp = 1.0139 PS 1.0 PS = 0.7355 Kw

하사점[Bottom Dead Center]피스톤이 실린더내에서 가장 낮게 위치하는 지점.

항력계수[Drag Coefficient]물체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계수 숫자값이 작을수록 공기역학적 저항이 작아 효율적임.

행정[Stroke]실린더내에서 피스톤이 상하운동하는 거리.

행정체적[Displacement]공기와 연료가 혼합된 혼합기가 엔진내에서 차지하는 체적으로 피스톤이 움직이는 체적공간과 연소실체적의 합.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운전의 편안함과 작동의 안정성을 위하여 차량의 상하방향의 진동을 제어하는 장치로 스프링,완충기 그리고 연결기구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휠,베이스[Wheelbase]앞차축의 중심과 뒷차축의 중심사이의 거리.

휠 사이즈[Wheel Size]바퀴의 반경과 폭으로 정의됨. 예를 들어 15X7은 반경이 15inch,폭이 7inch를 말함.

흡기매니폴드[Intake-manifold]각 기통으로 흡입된 공기를 분배하는 흡기관.

흡입행정피스톤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내려갈 때 발생되는 진공으로서 흡입 밸브를 통하여 혼합기 또는 공기를 실린더 내로 유입하는 행정으로 흡입밸브는 열리고 배기 밸브는 닫혀 있다.

횡치식배치엔진을 옆으로 배치한 방식으로서 FF 자동차에 많이 볼 수 있다. 엔진을 가로로 설치하면, 프런트부의 길이를 작게 하는 일이 가능하며, 그만큼 실내 공간을 크게 이용할 수 있다.



'자격증취득 > 산업기계설비기술사(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력발전  (0) 2020.08.09
랭킨사이클  (0) 2020.08.09
Flash Gas(플래쉬가스)에 대하여  (0) 2020.08.09
중간 냉각기와 액순환방식에 대하여  (0) 2020.08.09
다효사이클정의  (0) 2020.08.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