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rmer's Golden Life.
[산업기계설비기술사 2차 예상질문 및 답안] 볼트의 호칭치수를 설명해보세요. 본문
728x90
[예상질문] 볼트의 호칭치수를 설명해보세요.
[답안]
네. 답변드립니다.
피치를 [mm]로 표시하는 나사의 경우가 가장 많이 쓰입니다.
호칭치수는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 (나사의 호칭지름을 표시하는 숫자) 그리고 (피치)로 나타내 집니다.
여기서 호칭지름은 보통 바깥지름을 의미합니다.
M12를 예로 들면, 미터보통나사(M)에 수나사의 바깥지름 12mm를 의미합니다.
만약 M4 x 0.5의 경우 미터가는나사에 수나사의 바깥지름은 4mm이고, 피치가 0.5mm 임을 뜻합니다. 여기서 x 표시가 있을 경우는 미터가는나사를 의미하고, X가 없을 경우 미터보통나사입니다.
유니파이 나사의 경우 (Inch 단위)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 - (나사의 호칭지름을 표시하는 숫자) - (피치)를 의미합니다.
피치를 산수로 표시하는 나사의 경우,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 - (나사의 호칭지름을 표시하는 숫자) - (1Inch당 나사산의 수)를 의미합니다.
덧붙여 볼트의 강도를 표기법에 대해 말씀드리면
보통 고강도 볼트는 4T, 6T, 7T, 10T 이런식으로 표현되는데 여기서 4T라면 Tensile Strength가 40kgf/mm2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KS 기준이고,
만약 ISO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3.6, 4.6, 4.8, 5.6, 5.8
이런식으로 표현되는데 가령 8.8의 경우 앞의 8은 호칭인장강도 8 x 100 = 800 MPa을 의미하고, 하항복점은 800 MPa x 0.8인 640MPa을 의미합니다.
'자격증취득 > 산업기계설비기술사(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기계설비기술사 2차 예상질문 및 답안] 감속기에 쓰는 기어유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0) | 2019.04.17 |
---|---|
[산업기계설비기술사 2차 예상질문 및 답안] 점도지수는 무엇인가요? (0) | 2019.04.17 |
[산업기계설비기술사 2차 예상질문 및 답안] 유압시스템은 보통 어떻게 이루어 지나요? (0) | 2019.04.16 |
[산업기계설비기술사 2차 예상질문 및 답안] CFD에서 Porous Media와 Layer는 무엇인가? (0) | 2019.04.16 |
[산업기계설비기술사 2차 예상질문 및 답안] Newtonian Fluid가 무엇인가요? (0) | 2019.04.1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