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격증취득 (602)
Farmer's Golden Life.
1. 컨베이어 작업 시작 전 점검사항 3가지를 쓰시오.[동영상 설명] 정지도니 컨베이어를 작업자가 점검을 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작은 공장에서 볼 수 있는 그런 작업용 컨베이어 정도이다. 작업자가 점검 중일 때 다른 작업자가 전원 스위치 쪽으로 서서히 다가오더니 전원버튼을 누른다. 그 순간 점검 중이던 작업자가 벨트에 손이 끼이는 사고를 당하는 화면을 보여 준다.가. 원동기 및 풀리 기능의 이상 유무나.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다.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라. 원동기, 회전축, 기어 및 풀리 등의 덮개 또는 울 등의 이상 유무 2. 화면은 교량하부 점검 중 발생한 재해사례이다. 화면을 참고하여 사고원인 2가지를 쓰시오.가. 안전대 부착설비 및 안전대 착용을 하지 않았다.나. 안전난간 설..
1. 화면은 스팀배관의 보수를 위해 누출부위를 점검하던 중에 발생한 재해사례이다. 동영상에서와 같은 재해를 산업재해 기록, 분류에 관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때 해당되는 재해발생형태를 쓰시오.가. 스팀누출에 의한 이상온도 노출, 접촉에 의한 화상 2. 화면은 작업자가 컨베이어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 끝부분에 발을 짚고 올라서서 불안정한 자세로 형광등을 교체하다 추락하는 재해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작업자의 불완전한 행동 2가지를 쓰시오.가. 작동하는 컨베이어에 올라가 작업하는 자세가 불안정하여 추락할 위험이 있다.나. 컨베이어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있어 위험하다. 3. 화면은 버스 정비 작업 중 재해가 발생할 사례이다. 기계설비의 위험점, 미준수 사항(=원인) , 사전안전조치 사항(=..
1. 화면의 선반작업 중 발생한 재해사례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에서와 같이 안전준수사항을 지키지 않고, 작업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재해요인 2가지,가. 회전물에 샌드페이퍼(사포)를 감아 손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복과 손이 말려 들어간다.나. 작업에 집중하지 못하여 실수로 작업복과 손이 말려 들어간다.다. 손을 기계 위에 올려놓고 작업을 하고 있어 손이 미끄러져 회전물에 말려들어 간다. 2. 화면은 작업자가 전동 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 중 기계가 정지하여 점검 중 발생한 재해사례이다. 재해유형, 원인 2가지, 재해발생 원인을 서술하시오.가. 재해유형 : 감전나. 원인 1) 작업자가 절연용 보호구 미착용 2) 내전압용 절연장갑을 착용하지 않고, 맨손으로 작업을 실시함.다. 재해발생 원인을 서술작업..
[예상질문] 기어 백래시와 전위기어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답안]네. 답변드리겠습니다. 기어의 제작치수의 오차, 축중심거리의 변동, 열팽창, 윤활유의 유막두게의 변화, 부하에 의한 이의 변형, 기어축의 정적인 휨 등으로 인하여 이론적으로 계산한 기어의 기하학은 실제적으로 정확하게 적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에 원활한 기어의 회전 즉 전동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의 뒤틈, 즉 Backlash를 두어야 합니다. 백래시란 피치원둘레 PCD 상 측정된 치면 사이의 틈새를 말하며 f (피치원주상의 뒤틈의 길이)로 나타냅니다. 다만, 백래시(f)가 너무크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합니다. 기어의 정밀도 등급은 0급에서 8급까지로 9등급으로 구분한다. 대표적인 기준으로는 ISO/AGMA/KS/JIS가 있다. [꼬리질문] 전..
[예상질문][답안]네. 답변드립니다.철강의 성질, 특히 용접부의 기계적인 성질은 탄소량에 의해 크게 변화하는데, 망간을 비롯해 기타 합금원소도 약간의 영향력을 미칩니다. 이 영향력을 탄소영향력으로 환산한 것으로 식으로 나타내면 Weight Percent 기준으로 탄소 + 망간/6+실리카/24+니켈/40+크롬/5+몰리브덴/4+바나듐/10입니다. 즉 탄소당량은 고장력강에 첨가된 합금성분들이 용접 후 경화성에 미치는 정도를 Carbon Weight Percent로 환산한 값입니다. 0.4 이하에서는 용접성이 양호하지만 0.5 이상이면 곤란합니다. 탄소당량이 커지거나 두께가 두꺼워 지면 경도가 증가하여 예열온도를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탄소당량이 커지면 예열과 후열을 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냉각속도가 빠르면 용..
[예상질문] 열유체 공학에서 TKE란 무엇인가요?[답안]네. 답변드립니다. 먼저 TKE는 단위질량당 난류운동에너지 Turbulent Kinetic Energy의 약자로 Unit Mass 당 Mean값으로 계산한 Kinetic Energy 입니다. 난류가 가지고 잇는 에너지로서 속도변동의 운동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식으로는 1/2(u^2+ v^2+w^2)입니다.
[예상질문] 배관설계에서 T.A.B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답안] 네. 답변드립니다.공기조화설비의 배관설계시, T.A.B는 Testing, Adjusting 그리고 Balancing(이것 Balance가 맞는 것을 체크하는 것)을 실시함으로써 설계목적에 맞게 작업환경을 만들어서 에너지 절감과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전 과정을 말합니다.배관 및 Duct의 설계시 규격읠 결정을 일반적으로 수계산을 활용한 간이 Data를 기준으로 한 간단한 설계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운전시 배관이나 Duct에 Auto Balancing Valve 및 Constant Air Volume Unit 을 사용하지 않는 한 분기 Duct 및 Zone 별 유량(풍량) 보다 과다 혹은 과소한 유량으..
[예상질문] 배관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해주세요.[답안]네. 답변드리겟습니다.1. 먼저 배관와 밸브는 가급적 동일계의 배관재를 선정해야 합니다.2. 열팽창에 의한 재료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라이닝재를 사용합니다.3. 온도는 50도 이상에서 부식이 촉진되므로, 높은 온도는 피한다.4. 유속은 1.5m/s이하고 제어한다.5. 약제투입을 통해 용존산소량을 제어한다.6. 지하매설의 경우 Magnesium 등을 배관에 설치하여 희생양극제로 사용한다.7. 규산인산계 등 방식재를 사용한다.8.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급수를 수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