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격증취득 (602)
Farmer's Golden Life.
[예상질문] SI Unit과 MKS Unit 차이가 뭔가요?[답안] 네. 답변드리겠습니다.물리량을 수치로 나타낼 때 기준이 되는 것을 단위라고 합니다. 먼저 SI단위는 International System of Unit으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도록 채택한 단위를 말합니다.SI 기본단위는 길이 meter, 질량 kg, 시간 Second, 전류 Ampere, 열역학 온도 Kelvin, 몰질량 mol 광도 칸델라(cd)가 있으며, 보조단위로는 평면각 Radian, 입체각 Steradian이 있습니다. MKS 단위는 Meter, Kilogram, Second를 기본으로 하는 단위계입니다. MKS는 기본적으로 역학의 단위만을 포함하며, 후에 전자기학의 전류 단위인 Ampere 가 추가되어 MKSA ..
1. 페인트칠 마스크와 흡수제 3가지 가. 마스크 : 방독마스크 (페인트칠 나오면 무조건 방독마스크) 나. 흡수제 : 활성탄, 큐프라마이트(다이너마이트 친구), 소다라임(라임소다 친구) 2. 터널공사, 다이너마이트 낙반 위험방지 조치 2가지 가. 터널 지보공 및 록볼트의 설치 나. 부석의 제거 "지보공 ?" 支保工 지지하고 보호하는 공구부석?浮 뜰 부 石 돌 석 : 공중에 떠 있는 돌이라는 것 같다.3. 방열복, 방열두건, 방열장갑 등 내열원단의 성능시험항목 3가지 방열복을 입고나니 배가 고파 "난 내내 인절미만 먹었다." 가. 난연성 시험 나. 내한성 시험 다. 내열성 시험 라. 인장강도 시험 마. 절연저항 시험 (마지막 하나는 전기구나) 4. 전주 활성작업 2명, 절연방호구 올리고, 절연방호구 설치 ..
[예상질문] 냉간가공이 열간가공보다 좋은 점은?[답안]네. 답변드리겠습니다. 먼저 상온에서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작업을 냉간가공 Cold Working이라고 하며, 재결정온도 이상에서는 열간가공 Hot Working이라고 합니다. 냉간가공과 열간가공은 가공온도와 용융온도의 비로 보통 구분하는데, 냉각가공은 0.3T/Tm이하, 열간가공을 0.6T/Tm이상을 의미하고, 이 사이값을 온간가공이라고 합니다. 온도의 단위는 Kelvin으로 계산합니다. 냉간과공품에 비해 열간가공품은 열팽창과 수축, 거친 표면, 가열에 의한 산화막(Scale) 등으로 일반적으로 표면품질 및 치수정확도가 떨어진다.
[예상질문] 가공경화가 뭔지 설명하고 원리를 설명하시오? [답안]네. 답변드리겠습니다.가공경화는 변형경화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Work Hardening 또는 Strain Hardening이라고 합니다. 금속재질이 변형이 일어날려면 슬립이 일어나야 하는데, 슬립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전단응력의 크기는 전위라는 현상이 존재하므로 이론값보다 작습니다.하지만 전위가 많아지면 (1) 서로 간섭하여 얽히고, (2) 결정립계, 불순물, 개재물에 의해 움직임이 방해됩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슬립에 필요한 전단응력이 증가됩니다. 즉 서로 다른방향의 전위들이 서로 얽혀 전위의 움직임이 더욱 힘들게 되는 것이지요. 변형이 심할 수록 전위들의 얽힘도 증가하고, 금속의 강도도 증가합니다. 쉬운 예로 어릴 적에 철사를 구부렸다 ..
아직 1회 진행 중이지만 올해 남은 시험을 알아보면 2,3회가 있고 4회는 없다 기출문제가 아닌 정석으로 처음부터 공부해야 할 듯*정석으로 파트별 공부 후 기출문제 A4 접어서 답안보고 외워서 써보기
기출문제 위주로 외우면서 공부했는데 안 본데서 많이 나옴 역시 정석으로 공부해야 하나보다 일단 시험 끝났으니 오늘은 쉬고 저녁부터 돌순파파 작업형이나 슬슬 시청해야 겠다 벚꽃구경 가려고 했는데 비와서 다 끝남 굴착작업 많이 나왔는데 이 부분 공부 하나도 안해서 상상하며 지어서 썼다 교재 찾아보니 작업형 45점 맞아야 될 듯하다 마음 비우고 그냥 시험 봐야 할 듯 이런 문제가 나왔던 것 같다 굴착문제 3 (보일링 대비 안전대책 4/ 우물 2 / 작업계획서 4) 안전보건총책임자 역할 4개 조도랑 거리 계산법 -역수로 찍었는데 이것도 역자승 RMR 계산*RMR(에너지 소모량)은 작업대사량과 기초대사량의 비로서작업대사량 = 작업시 소비된 에너지 - 안정시 소비된 에너지 로봇 이상작동 대비 안전장치 산업보건법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