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격증취득/산업기계설비기술사(완) (179)
Farmer's Golden Life.
원뿔 모양으로서 서로 직각·둔각 등으로 만나 두 축 사이에 운동을 전달한다. 종류로는 직선베벨기어(straight bevel gear)·곡선베벨기어(spiral bevel gear)·제롤베벨기어(zerol bevel gear) 등이 있다. 직선베벨기어는 톱니 줄기가 피치 원뿔면에 일치하는 기어로서 서로 맞물릴 때 톱니의 위쪽에서 시작하여 톱니 뿌리 방향으로 물린다. 베벨기어 가운데 가장 만들기 쉽고 간단하며 제작비가 적게 들지만 쓰임새는 곡선베벨기어보다 적다. 공작기계·인쇄기계·차동기어장치 등에 사용한다. 곡선베벨기어는 톱니 줄기가 나선 모양으로 된 베벨기어이다. 비틀림각은 20°∼40°의 범위이며 흔히 35°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선베벨기어에 비하여 한번에 접촉하는 물림 길이가 커서 부..
한 줄 또는 여러 줄의 나사선으로 되어 있는 웜과 이[齒] 홈의 중앙이 오목하게 되어 있어, 이것과 맞물리는 웜휠과의 한 쌍을 말한다. 웜휠은 헬리컬 기어(helical gear)와 비슷해서 이의 홈이 비스듬히 새겨져 있고 웜의 나사선에 의해서 이송된다. 또한, 웜기어는 1/300 정도의 큰 감속비(減速比)를 얻을 수 있는 것과 역전(逆轉)이 불가능하다는 등의 특징이 있다
사이클로이드 치형의 기어에 비하면 공작이 용이하다는 등의 우수한 점이 많으므로, 보통 사용되고 있는 기어의 대부분이 인벌류트기어이다. 원(圓)에 감긴 실을 당기면서 되감을 때 실 위의 점 A가 그리는 곡선이 인벌류트이며, 이 곡선의 일부를 기어의 치형으로 한다. 원래의 원을 기초원이라고 한다.
유량의 조절 ·측정 등에 사용되며, 가공하기 쉬워 보통 원형으로 만든다. 지름 D인 유관(流管) 도중에 관의 지름 d(D>d)의 오리피스를 삽입하면, 그 직후에서 유속이 변화하여 압력이 떨어진다(베르누이의 정리). 오리피스의 바로 앞과 직후에서의 유체의 압력차를 검출함으로써 유량을 구할 수 있다. 또, 그것을 모니터로 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기화기의 연료유(燃料油) 도입부분을 비롯하여 공기 ·증기 ·기름 ·가스 등의 유량제한에 쓰인다. 기체의 공급원과 배기펌프 사이의 관에 오리피스를 덧대면, 그 사이에 적당한 압력기울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네이버 용어사사전 http://terms.naver.com/item.nhn?dirId=201&docId=16228전자 회로 내의 스위치나 계전기의 접점이 붙거나 떨어질 때 기계적인 진동에 의해 실제로는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접점이 붙었다가 떨어지는 것을 반복하는 현상. 이는 회로에 나쁜 영향을 끼치므로 제거해야 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25772입자가 구라는 전제하에서 구의 지름으로 계산한다. 체로 치거나 물 속에서 침전 속도를 측정하거나, 현미경을 통해 면적을 측정한다. 화성암과 변성암의 주요 구성광물의 입자 크기를 말하는 용어로는 조립 ·중립 ·세립이 있다. 퇴적학에서 쇄설물 입자 크기를 표현하는 데는 입도 구분 명칭인 자갈 ·모래 ·미사 ·점토 등을 사용하며, 다시 이들을 수식하는 용어로서 조립 ·중립 ·세립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54303원래는 물건을 으깨거나 찧는 도구의 총칭이지만, 공학적으로는 여러 가지 특수한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수압(水壓)프레스에서 고압액체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 속을 피스톤처럼 왕복운동을 하고, 그것에 의해 단조(鍛造) ·프레스 등의 가공을 하는 부품을 램이라고 한다. 또 수압프레스에서 고압액체의 압력의 맥동(脈動)을 잡기 위한 조압장치(調壓裝置)에도 조압피스톤과 마찬가지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나 고압액체를 취급하기 때문에 높은 강도가 요구되며, 따라서 단순한 원통형을 이룬다. 이와 같은 부품을 플런저(plunger)라고도 하는데, 보통 플런저는 지름이 작은 것을 뜻하고, 램은 지름이 큰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