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격증취득/산업기계설비기술사(완) (179)
Farmer's Golden Life.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7897관로의 유체는 마찰 등에 의하여 점차 에너지를 소모하여 압력이 떨어진다. 즉, 관로의 유량(流量)은 관의 굵기·길이 및 양단의 압력차에 따라서 결정된다. 유체에 높은 압력을 가하면 비교적 가는 관이라도 다량의 유체를 원거리까지 수송할 수 있다. 페르시아만의 유전에서는 1,300km 떨어진 지중해의 적출항(積出港)까지 송유관으로 석유를 운반한다. 관로는 높은 내부압력에 견디어 낼 수 있도록 원형단면으로 하고, 일반적으로 관의 재료로서는 주철·강(鋼)·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통신 케이블용 관로는 지하에 매설한 전화용케이블을 한데 모아서 수용하는 강관(鋼管)을 말한다. 해마다 늘어나는 전화의 수요에 맞추어 매년 또는 2..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60804미동(微動)이라고도 한다. 배율이 큰 지진계에만 기록된다. 진동의 주기는 1초의 수십 분의 1에서 수십 초에 이르는 것이 있다. 진동의 양식도 다양하여, 교통기관 등의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서 생기는 지반(地盤)의 진동, 파도의 충격에 의한 진동, 태풍 ·저기압 등 기압의 변동에 의한 진동, 화산활동에 뒤따르는 진동 등이 있다. 이것들은 미소지진과 잘 구별되지 않는다.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46384제진기(制振器)·흡진기(吸振器)라고도 한다. 완충기가 주로 최초의 1행정에 대한 힘의 상태를 문제로 하는 데 견줘, 댐퍼는 그후의 진동경과 및 정상상태에서의 진동을 그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두 가지를 겸한 장치가 적지 않다. 예를 들면, 자동차·철도차량 따위의 바퀴와 차체 사이에 장치되어 있는 서스펜션, 항공기가 착륙할 때 충격을 피하기 위하여 다리에 장치한 완충기 따위가 있다. 그 외에 문이 급격히 개폐될 때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문에 장치하기도 한다. 또 굴뚝·노(爐)·덕트(duct) 따위에서 공기·가스의 송풍량을 가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문도 댐퍼라고 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22927유체 커플링 또는 수력 커플링이라고도 한다. 펌프 바퀴와 터빈 바퀴가 오일이 채워진 케이싱 속에 들어 있고, 펌프 바퀴는 구동축에, 터빈 바퀴는 피동축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펌프 바퀴가 기관 등으로부터의 토크에 의해 회전하면 유체는 원심력에 의해서 압출되어 터빈 바퀴에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순환운동을 한다. 이 때 펌프 바퀴에서는 유체가 바깥 둘레에 가까워짐에 따라 각 운동량이 증가하고, 터빈 바퀴에 들어서서는 이것에 토크를 전달하고 운동량이 감소되어 다시 펌프 바퀴로 되돌아온다. 또, 유체는 맴돌이흐름을 하면서 회전흐름을 한다. 유체 클러치는 일종의 자동 클러치이다. 따라서 터빈 바퀴의 회전속도가 증가하여..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22922기본적인 구조는 수력 커플링(유체 클러치)의 펌프 임펠러와 터빈 임펠러 사이에 안내깃을 넣고 회로를 형성시킨 것이다. 이것은 보통 토크컨버터라고 한다. 안내깃이 없는 것은 수력 커플링이라 하며 토크를 그대로 전달하지만, 안내깃(스테이터)이 있는 것은 이로써 토크를 맡게 하고 토크를 바꿔 전달할 수가 있다. 즉, 부하(負荷)의 변동에 따라 피동축의 회전속도가 자동적으로 바뀌고, 그 변화가 원동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즉, 기계식 변속기나 수력 커플링에는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내연기관을 원동기로 하는 차량용의 변속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속운전을 할 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스테이터를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224218공기·물·기름 등의 유체는 원동기에 의해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개차의 깃 사이를 흘러 지나갈 때에 깃으로부터 에너지가 주어진다. 날개차에는 원심형(遠心型)과 축류형(軸流型)으로 나누는데, 원심형 날개차는 유체가 주로 회전축에 수직으로, 즉 원의 중심에서 바깥둘레의 방향으로 흐르고, 축류형 날개차에서는 주로 회전축의 방향으로 흐른다. 교반기나 세탁기 등에 있어서 유체를 휘젓는 가동부분(可動部分)도 날개차라고 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91642행성의 궤도는 태양의 인력만 생각하면 타원이 되지만, 다른 행성으로부터도 힘을 받고 있으므로 엄밀하게 타원은 아니다. 이렇게 행성의 궤도가 다른 천체의 힘에 의해 정상적인 타원에서 어긋나는 것을 섭동이라 한다. 행성의 궤도를 이론적인 운동방정식으로 풀어서 구하는 경우에는 먼저 다른 행성의 힘을 무시하고 타원방정식을 구한 다음, 다른 행성의 힘(섭동력)에 의하여 궤도요소가 시간과 함께 어떻게 변하는가를 계산하는 것이 보통이다. 섭동에 의한 궤도요소의 변화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행성간 회합주기와 비슷한 주기로 변하는 주기섭동과, 시간과 더불어 한없이 커지는 장년(長年)섭동이 그것이다. 그 밖에 장주기섭동이라는 변화..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6038액체 속을 고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의 표면은 액압(液壓)이 저하하는데, 이를 '베르누이의 정리'라고 한다. 그렇게 되면 압력이 액체의 포화증기압보다 낮아진 범위에 증기가 발생하거나 액체 속에 녹아 있던 기체가 나와서 공동을 이룬다. 이것은 수력터빈이나 선박용 프로펠러를 운전할 때 자주 발생하는 현상으로, 압력면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주로 날개의 등 부분에 발생한다. 발생한 기포는 압력이 높은 부분에 이르면 급격히 부서져 소음이나 진동의 원인이 되며, 터빈이나 프로펠러의 효율을 떨어뜨린다. 또 기포가 사라져 없어질 때 기포의 부피가 급격히 축소됨에 따라 그 부분의 압력이 매우 커지며, 그것이 날개를 침식시키는 원인이..